
이번 글에서는 화재조사관이 반드시 알아야 할 전문 용어에 대해 알아보자. 앞으로 전문 용어에 대해 계속해서 글을 작성할 예정이다. 전문 용어를 숙지하면 화재조사 관련 서적 및 화재발생 보고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한 분석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 1. 화재조사란?화재조사는 화재 발생 후 원인을 규명하고, 피해 규모 및 확산 경로를 분석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를 통해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보험 및 법적 책임을 명확히 할 수 있다. 화재조사에는 다양한 전문 용어가 사용되며, 이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2. 화재조사 관련 전문 용어1) 연소 (Combustion)연소는 가연물과 산소가 화학 반응을 일으켜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과정이다. 연소의 3요소(가연물, 산소, 점화원)가 충..

과학적인 화재조사 방법은 무엇일까? 과학적인 화재조사는 객관적 증거와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정밀한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화재조사를 과학적으로 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1. 화재조사의 중요성화재조사는 화재의 원인과 확산 경로를 파악하여 유사한 사고를 예방하고, 법적 책임을 규명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과거에는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과학적 접근 방식이 도입되면서 보다 정확한 분석이 가능해졌다. 본 글에서는 과학적인 화재조사 방법과 최신 기술을 소개한다. 2. 화재조사의 기본 원칙과학적인 화재조사는 객관성과 재현성을 바탕으로 진행된다. 미국화재폭발조사관협회(NFPA)에서 제시한 NFPA 921 가이드는 현대적인 화재조사의 기준이 되고 ..

1. 화재감식평가기사란?화재감식평가기사는 국가기술자격증으로, 화재 원인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자격이다. 이 자격증은 화재 원인 조사, 감식 기술 활용, 법적 증거 확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소방 및 안전 분야에서 높은 가치를 가진다. 이번 글에서는 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2. 화재감식평가기사의 역할화재감식평가기사는 화재가 발생한 후 그 원인을 규명하고, 화재의 확산 경로 및 피해 정도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화재 원인 조사: 발화 지점 및 원인을 분석하여 사고의 책임 소재를 규명증거 수집 및 분석: 화재 잔류물 및 연소 패턴을 감식하여 과학적 데이터를 확보화재 감식 보고서 작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법적 증거로 ..

이번 글에서는 화재조사관이 되기 위한 자격증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화재조사와 관련된 자격증 종류는 화재조사관, 화재감식평가기사(산업기사), CFI (Certified Fire Investigator) 등이 있다. 또 화재조사관 자격증을 취득하면 어떤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지도 종합적으로 알아보자.1. 화재조사 자격증이 중요한 이유화재조사는 화재 원인을 규명하고, 방화 여부를 판단하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문적인 화재조사관이 되기 위해서는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여 전문성을 인정받아야 한다. 본 글에서는 화재조사와 관련된 주요 자격증 종류와 취득 방법을 알아본다. 2. 국내 화재조사 관련 자격증1) 소방시설관리사소방시설관리사는 국내에서 소방 안전 및 화재조사와 관련하여 권위 있는 ..

연소(燃燒, Combustion)는 물질이 산소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내며 타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화학적 에너지가 열에너지와 빛에너지로 변환되며,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연소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특정한 조건이 필요하며, 이를 ‘연소의 4요소’라고 한다. 화재조사를 함에 있어 연소의 4요소를 이해하고 점화원과 최초 가연물을 찾아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1. 연소의 4요소(화재발생 원리)연소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위해서는 가연물, 산소 공급원, 점화원, 연쇄 반응이라는 네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이 중 하나라도 부족하면 연소가 일어나지 않거나 즉시 소멸한다.1) 가연물 (Combustible Material)가연물이란 쉽게 타는 물질을 의미하며, 화재 발생의 기본적인 요소이다. 가연물은 고..

1. 미소화원의 개념미소화원(微小火源, micro ignition source)이란 화재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작은 점화원을 의미한다. 이는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매우 작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특정 조건에서 쉽게 발화하여 큰 화재로 확대될 수 있는 열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방의 화재조사 과정에서 미소화원의 종류와 감식방법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오늘은 미소화원의 종류와 감식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2. 미소화원의 종류미소화원은 발생 원인과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대표적인 미소화원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1) 전기적 미소화원단락(Short Circuit):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거나 접속부에서 과열이 발생하여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다.과부하(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