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화재현장에서 화재패턴 분석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오늘 다양한 화재패턴의 종류 중에서 화살표 패턴(arrow pattern), 역원뿔형 패턴(inverted pattern), 끝이 잘린 원추 패턴(truncated cone pattern), 고스트마크(ghost mark), 트레일러 패턴(trailer pattern), 틈새 연소패턴(seam burn pattern)에 대해 알아보고 해당 패턴으로 발화지점을 추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화살표 패턴(arrow pattern)
화살표 패턴(arrow pattern)은 목재나 알루미늄 등이 타거나 녹았을 때 물체의 단면이 열원 방향으로 짧거나 소실된 경우 화살표처럼 뽀족하게 남겨진 연소 형태를 말합니다. 화살표 모양이 짧고 뾰족하거나 격렬하게 탄화된 곳일수록 발화지점과 가깝다는 의미이며, 연소 후 남겨진 물체의 잔해를 통해 식별되는 연소패턴 중 하나입니다. 화살표 패턴은 연소의 방향성을 추정하는데 많이 활용되는 기법으로 특히, 목재의 경우 화살표 패턴과 목재의 탄화심도를 측정하여 연소의 방향성을 식별하고 발화지점을 추론하는 데 있어 많이 사용되는 감식기법 중 하나입니다.
2. 역원뿔형 패턴(inverted pattern)
역원뿔형 패턴(inverted pattern)은 역삼각형 패턴의 상대적 개념으로 정삼각형 형태로 식별되는 연소형태를 의미하며 화재 초기단게에서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특징이 있는 패턴을 말합니다. 그 이유는 열방출률이 낮거나 화재가 단기간에 종료된 경우 불완전연소 되기 때문입니다. 화재가 빠르게 연소확대된 경우 찾아볼 수 없거나 화염이 맹렬하게 성장하여 옥외로 출화할 경우 창문이나 유리창, 출입문 등의 바깥쪽 상단부분에서도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또한, 가연물과 공기공급이 원활할 경우 화염이 다시 성장하면서 "V형 패턴"으로 발전하게 되면서 형태를 남기지 않고 소멸하기도 합니다.
3. 끝이 잘린 원추 패턴(truncated cone pattern)
끝이 잘린 원추 패턴(truncated cone pattern)은 수직면과 수평면에 의해 화염의 끝이 잘릴 때 나타나는 3차원 형태의 화재패턴을 말합니다. 원뿔모양이나 모래시계모양의 플룸이 수직평면이나 수평평면에 의해 분할되거나 잘린 것으로 "V형 패턴", "U형 패턴", "화살표 패턴" 등은 화재에 의해 생성된 3차원적인 원뿔과 관계가 있습니다. 끝이 잘린 원추패턴은 주직표면에 있는 "V자형 패턴"과 수평표면에 있은 원형 패턴과 같이 2차원 패턴들이 합쳐진 결과로 3차원 모양이 만들어게 됩니다.
4. 고스트마크(ghost mark)
고스트마크(ghost mark)는 시멘트 바닥에 타일 등이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을 때 그 위로 인화성 액체가 쏟아진 상황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액체 가연물이 타일 사이로 스며들어 타일 틈새에서 변색흔이 관찰되고 박리되는 특이점이 있는데, 흔히 바닥면과 타일 사이 연소로 인해 형성되는 흔적을 말합니다. 고스트마크는 실내 전체가 일시에 착화되어 급격하게 화염에 휩싸이는 플래시오버 직전 강력한 화재 열기 속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류를 사용한 현장에서 자주 발견되는 패턴으로 인위적으로 화재를 일으킨 현장으로 추정할 수 있는 패턴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5. 트레일러 패턴(trailer pattern)
트레일러 패턴(trailer pattern)은 의도적으로 불을 지르기 위해 바닥에 길고 직선형태로 나타나는 좁은 형태의 연소 현상을 일컫습니다. 연소를 확대시키기 위해 신문지, 종이, 화장지, 의류, 이불, 짚단 등을 길게 연결한 후 인화성 액체를 그 위에 뿌려 놓는 형태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연소를 확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이 패턴은 인화성 액체를 주로 이용한 것으로 "포어 패턴"의 일종이라고도 불립니다.
6. 틈새 연소패턴(seam burn pattern)
틈새 연소패턴(seam burn pattern)은 벽과 바닥의 틈새 또는 목재 마루 바닥면 사이의 틈새 등에 가연성 액체가 뿌려진 경우 틈새를 따라 액체가 고임으로써 다른 곳보다 오랫동안 강하게 연소하여 나타나는 연소 패턴을 말합니다. 보통 화재 초기단계에 나타나는 특징이 있고 플래시 오버와 같이 강한 화염 속에서는 쉽게 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 화재조사에 임하여야 합니다. 가연성 액체를 사용한 화재현장에서 자주 발견되는 패턴으로 인위적으로 화재를 일으킨 현장으로 추정할 수 있는 패턴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