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화재조사는 화재의 원인, 과정, 피해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과학적 절차입니다. 성공적인 화재 원인조사를 위해서는 철저한 정보수집과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정보수집과 분석을 통해 화재의 원인을 명확하게 규명하고, 관련된 법적 문제를 해결하며 향후 유사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화재조사에서 필요한 정보수집과 분석의 과정에 대해 보다 쉽게 소개하겠습니다.

정보수집(노트북)
정보수집

 

1. 화재상황에 대한 수집정보 분석

(1) 정보 분석

- 화재조사관이 화재현장에서 직접 확인한 상황으로부터 화재를 목격한 다수의 관계자 또는 화재진압에 참여한 소방관들의 정보에서 공통점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화염이 최초 출화한 지점, 연기의 색깔, 개구부의 개방상태 등 단편적인 정보일지라도 공통사항을 대입시켜 보면 일치하는 정보에 신뢰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 연소 강도가 강하게 식별되는 지점이 확인된다면, 어느 지점에서 어느 방향으로 어떻게 상황이 진행되었는지 연소 패턴을 식별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화세의 강약 구분은 연소확대된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으며, 주수효과와 더불어 피난상황 등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발화 당시 습도가 낮고 바람이 있었다면 화재의 연소 확대 과정에서 기상 여건이 변수로 작용했음을 입증할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 화재 각지 시간과 현장도착 시간의 차이가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연소 확대나 화염의 상승성이 나타난 경우, 가연성 증기 또는 석유류 등에 의해 착화된 것임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발화지점에 가연물을 모아 둔 상태로 발견되었다면 어렵지 않게 인위적 요인으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 최근에는 차량의 블랙박스나, 건물의 CCTV, 관공서의 CCTV가 많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건물의 경우 화재조사 단계에서 CCTV 설치 여부를 반드시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주변에 주차된 차량에 블랙박스가 설치되어 있다면 영상 확보에 만전을 기하여야 합니다. CCTV 영상 및 블랙박스 영상을 가장 객관적이고 중요한 단서가 되어 발화지점과 화재원인을 가장 명확하게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고, 법원 등에 제출되는 증거 자료로서의 활용가치도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수집된 정보 분석 시 유의사항

- 편견이나 선입견이 없어야 하고 주관적 견해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 수집된 모든 정보는 누락 없이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사실 확인으로 입증이 가능해야 합니다.

- CCTV 및 블랙박스 영상인 경우 녹화시간과 표준시간을 오차 범위를 확인해야 합니다.

- 수집된 정보는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영구 보존성이 있어야 합니다.

 

2. 진압상황에 대한 수집정보 분석

- 현장에 출동한 소방관의 정보는 가장 객관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정보로서, 최초 화염의 발견 지점, 화염의 진행방향과 세기, 인명구조활동, 인명대피 여부, 연기의 색깔, 출입문 및 개구부의 개폐여부 등 화재 초기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연소 중 이상한 소리와 냄새, 화염의 이상연소 현상 등이 있었다면 우발적인 사고가 아니라 계획된 사고였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가연물을 도화선처럼 연결시킨 가운데 일부분만 연소하고 있는 상황이거나, 가연물이 많이 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빠르게 연소 확대된 경우라면 가연성 액체 등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화재를 모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주변 관계자들의 행동과 태도 등에 대해 탐문조사를 실시하면 화재 전과 후 상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위적인 화재로 의심된다면 경찰과 긴밀하게 협조해야 합니다. 

- 화재진압 과정에서 발화건물에 설치되 소방시설의 작동여부는 화재의 전반적인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설치되어 있다면 발화구역과 발화층을 확인할 수 있고,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어 있다면 알람밸브의 개방 상태와 헤드의 작동여부를 확인하여 발화실을 추정하는 데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관계자 진술내용에 대한 분석

- 관계자가 다수일 경우 각자의 진술 내용이 다를 수 있어 수집된 정보는 가변적일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화재 당시 주변상황에 대하여 구체적인 진술을 확보하여 신빙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대형화재인 경우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화재신고가 접수되는데 각 시간대별로 화재의 규모와 발견위치가 다를 수 있어 신고한 모든 목격자의 진술을 타임라인 형태로 정리하면 연소 확대 형태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관계자는 보통 신고자, 최초 목격자, 초기에 화재를 진압한 사람,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소유자 및 점유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소유자나 입주자의 경우 직접적인 이해당사자로서 이해득실을 계산하여 진술을 번복하거나 일관성이 결여되어 허위진술을 할 수도 있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모든 이해관계자의 진술 정보의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기에 다양한 정보를 취합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 차량화재인 경우 직접 운전을 한 사람보다는 해당 차량 뒤를 따라가던 차량과 옆을 지나가던 차량에서 더 정확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주변을 지나 던 운전자의 진술을 확보하면 좋습니다.

 

화재조사에서 정보수집과 분석은 화재 원인 규명의 핵심 요소입니다. 화재현장 조사, 관계자 및 최초목격자 진술, CCTV 등 영상 기록물 분석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물리적 증거와 증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